Home컨텐츠

중앙SUNDAY

세상을 바꾸는 ESG - “각계 구성원 협력, 작은 시도가 모여 사회를 변혁시킨다”






방송국 PD, 스타트업 대표, 그리고 대학 교수. 뚜렷한 접점이 없을 것 같은 세 직업의 남자 셋이 뭉쳤다. 이욱정 KBS미디어 PD와 김형수 트리플래닛 대표, 김범준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가 주인공이다.

관심 분야도 저마다 다르다. 이 PD는 다큐멘터리 ‘누들로드’ ‘요리인류’를 기획·연출한 요리광이다. 김 대표는 나무 심기를 소재로 소셜벤처를 설립한 식물 마니아, 김 교수는 스스로를 가리켜 “덕업일치를 해냈다”며 껄껄 웃는 통계물리학자다.




PD·CEO·교수 셋의 사회적 문제 해결
코로나 위기 속 식당 주인들 합심, SK 지원 받아 노숙자에 무료 급식, ‘반려나무’ 입양 운동 10만명 동참


기업들,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로 기후변화 등 해결에 큰 역할 필요
100년 내다보는 ESG 경영 중요


이들의 공통 관심사는 각자 다른 분야에서 사회를 둘러싼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떻게 일조할지 고민하는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와 경기 불황으로 각박해진 사회상, 기후변화 등 환경 문제로 인류의 평온한 일상이 위협받고 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 17일 이 PD가 운영하는 요리인류 검벽돌집(서울 회현동)에서 만난 셋은 “사회 구성원 간 긴밀한 협력과 연결만이 문제 해결의 지름길”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기업 주도의 사회적 가치 창출’을 강조하고 나선 SK그룹이 24일 올 들어 두 번째로 마련한 온라인 소셜밸류커넥트(SOVAC) 행사에 연사로 참여하면서 인연을 맺었다.






Q. 누군가는 ‘당장 나 먹고 살기도 힘든데’라고 할 텐데 사회 문제 해결이 왜 중요한가.


A.
김형수 대표=“보육원에서 봉사활동 중에 한 30대 장애인을 만났다. 그는 아기 같은 신체에 말도 못하고 걷지도 못했다. 처음엔 ‘과연 이분은 행복할까’라고 생각했다가 나중에 깨달았다. 그의 생존 자체가 우리 사회의 ‘마지막 테두리’가 여기까지 뻗어 있음을 뜻한다는 걸.


가난한 나라에도 부유층은 많다. 사회의 진면모는 잘 사는 사람, 좋은 곳이 아닌 힘들게 사는 취약계층과 그들이 있는 곳을 들여다볼 때 나온다. 좋은 사회일수록 취약계층도 어우러져 살 수 있다. 누군가가 그들을 위해 그만큼 노력해서다. 

팬데믹 장기화에 그런 연결고리가 가장 먼저 끊길까 우려된다. 그게 끊어지지 않도록 어느 정도 여유 있는 기업이나 사람들이 잡아줘야 한다. 취약계층과 공존 가능한 사회가 곧 모두가 살기 좋은 사회다.”



Q. 일개 기업이 사회 전체에 얼마나 좋은 영향을 미칠지 미지수다.


A.
이욱정 PD=“과거엔 국가나 종교의 역할이 중요했다. 지금은 기업들이 인류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나누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국가는 개별 영토 안에서만 기능하지만 기업은 이미 그 경계를 넘어섰다. 일선에서 글로벌 소비자들과 쌍방향으로 소통하고 함께 새 가치를 창출한다.

요즘 같은 위기일수록 이런 풍부한 노하우를 비축한 기업들이 정부 손이 덜 닿는 곳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Q. 곳곳에 산적한 사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 게 최선책인가.


A.
김범준 교수=“내 수업을 듣는 학생이 들려준 얘기다. 버스정류장에서 자주 이용하는 버스를 기다리는데 줄이 따로 없어 불편했더란다. 친구 하나를 설득해서 둘이 줄을 서봤다. 그래도 줄이 안 만들어졌다. 하나 더 설득해서 셋이 서봤다. 그랬더니 줄이 생겼다. 다음날부터는 매일같이 그 버스를 기다리는 줄이 만들어졌단다.


이런 식으로 각계 구성원들이 작은 규모에서부터 긴밀히 협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공유하려 시도할 때 각 사회적 활동이 사회 전체에 확산할 수 있지 않을까. 작은 시도가 모이고 모여 세상을 바꾼다.”



Q. 협력과 연결을 위해서는 처지가 다른 이들의 활발한 참여를 유도하는 아이디어도 중요하겠다.


A.
이욱정=“지난달 22일 문을 연, 노숙인들을 위한 무료급식소 ‘명동밥집’ 도시락을 기획했다. 팬데믹으로 폐업했거나 이를 고민하는 골목식당이 급증했는데 어려운 상황에 처한 가게 주인들이 평소 장기를 살려 도시락을 만들고, 더 어려운 이들을 돕고 있는 거다.


새로운 방식의 협력이다. 세상에 쓸모없는 노동은 없다. 팬데믹으로 가치가 떨어진 듯 보였던 노동의 새 쓰임새를 당사자들이 직접 찾아내고, 그걸 나 같은 기획자가 맥락에 맞게 엮고, 기업(SK가 비용 일체를 지원)이 지속가능한 효율적 활동이 되도록 조직적인 힘을 발휘한다.”


Q. 특기나 직업이 없어도 보람 있는 사회적 활동에 동참하고픈 사람들이 적잖다.


A.
김형수=“2017년부터 ‘반려나무’ 입양 운동을 해오고 있다. 나무 한 그루를 자녀가 다니는 학교 안이나 집안 또는 집 근처 산불 피해지 등지의, 개인이 기부하고 싶은 장소에 심어 반려동물처럼 키우는 거다.


친근한 용어와 장소 사례 선정으로 이 운동의 의의가 잘 전달된 덕분인지 지금까지 10만 명 이상이 반려나무 입양에 동참했고 지난해 10만 그루를 심을 수 있었다. 

내 불편을 감수하면서 환경 문제를 해결하라고 하는 건 참여에 도움이 안 된다. 내 문제, 내 주위 문제라고 인식해야 모두가 조금씩 더 환경 보호에 힘쓰게 된다.”



Q.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 사회적 관심 역시 뜨겁다.


A.
김범준=“기업가라면 내 회사가 당장 올해 얼마나 많은 영업이익을 거둘지부터 고민하겠지만 먼 미래도 내다봐야 한다. 내 회사가 10년 후, 100년 후에도 존재할 건지. 지속가능성은 기업만의 고민거리는 아니다.


정부도 일반인도 ESG를 중시해야 한다. 정치인이라면 내 임기 안에서의 미래만 볼 게 아니라 100년 후 우리나라가 어떤 모습일지, 일반인이라면 내 자손들이 잘 살아가려면 어떻게 오늘을 개척해나갈지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



※원문을 보려면 링크(https://news.joins.com/article/24001391)를 클릭해주세요.

컨텐츠 정보
컨텐츠 정보
제목 세상을 바꾸는 ESG - “각계 구성원 협력, 작은 시도가 모여 사회를 변혁시킨다” 등록일 2021.02.27
카테고리

ESG트렌드 | SV비즈니스 | 지역 사회 | 기타

출처 중앙SUNDAY
유형 Article
해시태그

#이욱정​ #요리인류​ #요리와협력 #김형수​ #트리플래닛​ #나무와협력 #김범준​ #물리학자​ #물리와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