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커뮤니티홍보/뉴스

TALK

[SV Hub] 현장ESG : 공공기관의 ESG 인식 촉진 = 무형자산 인식 결과 공표

프로필 이미지 CSES_SVHub

2022.05.09 09:50:51 770 읽음


글. 위아프렌즈 연구개발전담 부서장 안규환

출처 :  사회적가치연구원 통합플랫폼 SV Hub




우리나라는 연구개발 R&D가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정부 R&D 투자 총 규모는 240.1억 달러(28.2조 원) 그리고 민간 R&D 투자까지 포함한 국가 R&D 투자는 764.1억 달러(90조 원)에 달합니다. 연구개발 R&D 성과는 논문, 특허 등으로 측정되고 있고 국가 경쟁력 순위 또는 여러 지표에서 과학인프라 또는 기술 인프라란 측면으로 측정되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의 질적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국내 논문의 인용 정도를 사용하는데 논문 보정 인용지수, 논문 인용 비율 등이 있습니다.





연구개발계획서는 AI/DATA 등 기술성을 기반으로 인력과 장비 등 사업성을 확보하여 시장성을 확보 또는 추적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기술하는 것이고 일정 연구개발기간이 끝나면 이에 대한 성과지표를 평가받는 것으로 마무리됩니다. 그런데 사실 국가 연구개발 투자에 대해 민간 기업이 R&D 신청을 하는 경우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라는 타이틀로. 1 기술적 측면, 2 경제적, 산업적 측면, 3 사회적 측면 등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ESG에 해당합니다.


이 부분에서는 연구자 입장에서 기대되는 결과를 기술적 측면과 경제, 산업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간단명료하게 기술하도록 지시하고 있는데요, 기술의 확산효과, 기술적 경쟁력 향상 효과 위주로 기술적 파급효과를 기술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특히 당해 기술 개발에 따른 경제적 효과로서 예상수익, 생산성 향상에 따른 비용 절감, 수입대체 수출 기대, 당해 기술의 시장성 등을 기술하고 산업적 효과로서 산업발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 등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를 서술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문인력 양성 산업 구조 개선, 국가 이미지 재고 효과 위주로 전략적 차원에서 파급효과를 제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연구 개발 계획서 양식에는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라는 타이틀로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에 연구개발성과의 과학, 기술적, 경제산업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기대효과, 파급효과 등을 기술하도록 합니다. 또한 사업화 계획 부문에 사업화에 따른 기대효과로 연구개발과제를 통하여 연구개발 하려는 기술과 제품의 사업화로 인한 고용창출효과, 경제 기여도, 사회가치 기여도, 지역 내 파급 효과 등을 기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속과정은 단절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원가나 비용으로 회계처리 됩니다.




(중략...)



현재까지 개발한 ESG 평가 템플릿을 근거로 각 개별 주체(기업과 공공기관)가 연구개발계획서에 담고 있는 시장성, 사업성, 기술성 등을 연구개발비의 무형자산 인식요건으로 평가하고 그동안 60년의 기간동안 개발 완료한 RASCH 모델의 컷오프 방법을 사용하여. 원가(COST) 또는 비용(EXPENSE)으로만 인식하는 많은 연구개발비가 무형자산으로 인식하여 ESG에 대한 객관적 측정을 확인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합니다.





- SV Hub (현장ESG) '공공기관의 ESG 인식 촉진' 칼럼 전문 보기 -